[일요와이드] 한미 정상, 25일 만에 코로나19 관련 논의<br /><br /><br />문재인 대통령이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통화를 하고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협력 방안 등을 논의했습니다.<br /><br />총선을 마친 여야 정치권은 '포스트 총선' 체제로 전환했는데요.<br /><br />향후 정국이 어떻게 변화하게 될지 전문가와 관련 내용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김홍국 대진대 객원교수, 허성우 국가디자인연구소 이사장<br /><br />어서 오세요.<br /><br /> 한미 정상이 25일 만에 다시 전화통화를 했습니다. 트럼프 대통령은 문 대통령이 총선에서 큰 승리를 거뒀다며 축하했는데요. 지난 24일에 이어 또 한번 트럼프 대통령의 제안으로 통화가 이뤄진 건데, 어떤 의미로 보세요?<br /><br /> 11월에 미국 대선이 있다는 점에서 트럼프 대통령도 우리나라의 총선 과정을 유심히 지켜봤을 것 같은데요. 어떻게 생각하세요?<br /><br /> 포스트 체제 정비에 나선 여야 상황 짚어보죠. 180석이란 압도적 과반이라는 총선 결과에 대해 여당이 내놓은 일성은 무거운 책임감과 과거에 대한 반성이었습니다. 윤석열 검찰총장 등을 겨냥한 발언 등에 대한 경계령으로 볼 수 있겠죠?<br /><br /> 윤 총장 거취를 묻는 시민당 우희종 대표에 이어 이번엔 열린민주당 비례의원으로 당선된 최강욱 당선인은 "세상이 바뀌었다는 걸 확실히 느끼도록 갚아주겠다"고 밝히기도 했습니다. 언론과 검찰을 향해 선전포고성 발언에 대해선 어떻게 보십니까?<br /><br /> 민주당은 일단 코로나19 사태 속에서 국민들의 생업과 일자리를 지키는 것이 우선이라고 강조하고 있느데요. 7월 공수처 출범을 앞두고 검찰개혁에 속도를 낼지에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지 않습니까?<br /><br /> 현재 공수처 출범과 관련한 핵심 사안 중 하나는 초대 공수처장 인선이 아닐까 싶어요. 이를 두고 여야가 위성 비례정당에 이어 위성 교섭단체 구성을 놓고 눈치싸움을 벌이고 있습니다. 위성 교섭단체 구성으로 여야가 얻을 수 있는 실익은 무엇인가요?<br /><br /> 위성정당에 이은 또 다른 꼼수라는 비판이 적지 않은데요. 이번에도 의원 꿔주기가 등장하게 될까요? 여야가 교섭단체를 만들 수 있는 시나리오는 어떤 것들이 있습니까?<br /><br /> 이번 총선에서 참패한 통합당은 지도부 공백 등 후폭풍에 여념이 없는데요. 내부에선 김종인 전 선대위원장이 비대위원장을 맞아 수습해야 한다는 요구가 거세지고 있습니다. 두 분이 보시기엔 김종인 위원장 외에 다른 대안이 없다고 보세요?<br /><br /> 다만, 이번 총선에서 유일하게 생환해 5선 고지에 오른 조경태 최고위원은 '7월 조기 전당대회 개최'를 주장하고 있습니다. 총선 참패 후 당 수습 방안을 놓고 갈등에 직면할 거란 관측도 나오는데, 이 부분은 어떻게 보세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